카테고리 없음

12. 절의 개념 : 주절과 종속절(명사, 부사, 형용사)

레딩턴 2023. 2. 19. 23:09

절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보통 주어와 동사를 이루는 문장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절이라는 말은 기본 전제조건이 연결사(접속사,관계사,의문사)로 이루어진 문장을 나눌때 두개로 구분한 문장을 각각 부르는 말이어서 절이 주어와 동사라는 것은 나눈다는 전제조건이 없기때문에 정의라고 볼수 없습니다.

문장을 나누어 구분할 때 연결사가 없는 문장은 먼저 생긴 문장이어서 중심이 되는데 이를 주절이라하며 연결사 있는 부분이 시간상(앞뒤 표기 위치가 아님) 나중에 생겼다해서 종속절이라 합니다. 종속절 중에 중심문장에 들어갈수 없는 문장은 모두 부사절이라 합니다.

절의구분은 주절과 종속절(부사절, 명사절, 형용사절)로 표현하며 주절이 종속절(명사절,형용사절)을 포함한 경우와 주절과 종속절(부사절)이 분리된 경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연결사중 접속사의 경우 등위접속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대등하므로 종속절이라 할수 없어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고 접속사 관련해서는 종속접속사만 생각하시면  됩니다.

첫째 연결사 포함하지 않은 문장(주절) & 연결사(종속접속사,의문사중)를 포함하고 있는 문장(종속절중 부사절)
예 : I was happy when I was young
연결사외의 문장이 주어(I) 불완전 자동사 보어(happy)로 문장 형식을 충족하므로 연결사 문장이 별도 부사 역할을 하는 경우입니다.

둘째 연결사 포함하여 구성된 문장을 주어나 목적어 보어로 취하는 전체문장(주절) & 연결사(종속접속사,의문사중) 포함하고 있는 문장(종속절중 명사절)
예 : I don't know when he will come.

첫째 둘째에서 종속접속사가 경우에 따라 명사절, 부사절인 경우가 있는데 when=as, if=whether가 그렇습니다. 종속접속사로만 분류해본다면 종속 접속사중 that는 100% 명사절, when=as, if=whether는 주절 중심(주어 목적어 보어) 여부에 따라 명사절, 부사절 그리고 그외 기타 접속사는 100% 부사절입니다.

세째 관계사 문장을 포함한 전체문장(주절) & 연결사(관계사)를 포함한 문장(종속절중 형용사절)
예 : I read the book which you gave to me
연결사외의 문장이 주어 동사 목적어로 구성된 주절이어서 관계사가 있는 문장이 별도의 종속절이 되지만 관계사로 연결된 문장은 선행사가 반드시 존재하고 선행사를 수식하는 관계사 문장이 형용사 역할을 하므로 모두 형용사절입니다. 항상(복합관계대명사는 제외) 형용사절이 선행사를 수식하므로 주절에 포함된 문장으로 볼수 있습니다.
예외 : 복합관계대명사는형용사절이 아닌 명사절이 됩니다.
I remembered what he said.
따라서 주절안에 포함되는 문장입니다.

전체적으로 한몸 딴몸을 이해하시겠지요? 사실 자타동사의 개념이나 절의 개념은 자체적으로 시험에 나오는 경우는 없으나 자타동사는 문장을 만드는데 그리고 절의 개념은 기타 문법을 이해하는데 (예를 들면 때나 조건의 부사절은 미래를 현재로 대신한다)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어서 완벽히 습득하시는게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