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35.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레딩턴 2023. 5. 17. 16:14

의미상 주어를 설명드리면 준동사라 부르는 To부정사, 분사, 동명사도 동사에서 만들어진 표기이므로 동작의 주체가 존재하는데 이를 의미상 주어라 말합니다.
예(to부정사 의미상 주어)
- I expect him to apply for the company.(문장에 목적격으로 표기한 경우)
him이 to apply for의 주체이므로 to부정사의 의미상주어는 him
- I want to bike along  the  river.
(문장에 주격으로 표기된 경우)
I가 to bike의 주체이므로 to bike의 의미상 주어는 I로 want의 주어이기도 하면서 to bike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이제 우리가 말하거나 글로 표현할때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to부정사의 주체가 문장의 주어와 같으면 to부정사 바로 이전에 따로 표기하지 않습니다.
2. to부정사의 주체가 문장의 주어와 다를때 to부정사의 바로 앞에 목적격으로 표기합니다. 주체를 동사 다음에 표기할 수는 없는거니까요.
3. 목적격 표기후 목적격 이전 단어와  분리되어 있는 부분을 연결할때 전치사 for나 of를 표기하거나 전치사 표기를 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a. of 표기
목적격 바로 이전 단어가 형용사일 때만 고려할 사항이며 이 경우도 형용사가 to부정사 행위를 사람의 성격(성질)로 나타낼 때만 of를 표기합니다. 이러한 경우가 아닌 때는 형용사라 하더라도 for를 표기합니다.
물론 이런 경우는 진주어(to부정사), 가주어로 이루어진 2형식 문장의 경우만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중학교 과정에서 이런 설명없이 그냥 암기로 외워버린 아래의 문장을 기억하십니까?

It is difficult for us to stay up late for the cramming.
It is stupid of you to believe his promise too easily.
(어리석음은 좀처럼 고쳐지지 않는 지속적인 사람의 속성의 하나이므로 성질로 판단하는 겁니다.)
b. 전치사를 절대 표기할 수 없는 경우
목적격 바로 이전의 단어가 동사일 때만 고려 사항이며 동사가 우리말로 ~을~를 을 붙일수 있는 경우(물론 그렇다하더라도 영어로 예외동사인 경우로 전치사가 정해져서 붙는 경우는 예외)와 ~을 ~를이 안붙어도 영어로 목적어를 바로 가져오는 극히 일부 타동사도 전치사를 표기할 수 없습니다.
예(설명순으로 예문)
I expect him to support me.
I look after my dog to recover the health.
I discuss him to be a representative of our company.
c. 위 a. b.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목적격 바로 이전에 전치사 for를 표기합니다.

기준이 되는 원칙만 알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표현하기만 하면 끝으로 여러번 문장을 상상해서 머리속에 그림을 그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