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36. To부정사 일어난 시점 표현 & 능동/수동

레딩턴 2023. 5. 27. 09:52

전편에 설명드린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글을 쓸 때나 쓰여진 글을 볼 때도 시작점이 되는 중심이므로 항상 먼저 살펴야하는 부분이고, 이후 순서로 여기에 맞추어 일어난 시점을 표현하는데, 이 때도 동시에 능동/수동도 알수 있는 표기어어야 합니다.

To 부정사 일어난 시점 표현
1. 단순부정사(지칭하는 표현)
모양 - to 동사원형(능동) / to be p.p(수동)
시점 - 기준이 되는 동작(불완전 자동사 포함)과 비교하여 시점이 같거나 미래일 때 표기.

I want him to join our team.( 능동 )
I want my used car to be repaired as soon as possible.( 수동)
2. 완료부정사(지칭하는 표현)
모양 - to have p.p(능동) /  to have been p.p(수동)
시점 - 기준이 되는 동작(불완전 자동사 포함)과 비교하여 시점이 먼저(이전)임을 표현할 때 표기.
It is considered for the exacutive to have canceled the investment this morning.(능동)
It is considered for the tower to have been built B.C 153.(수동)

위에 보여드린 예가 동사자리와의 시점표기 비교이지만 그렇다고 동사자리하고만 비교하는 것은 절대 아님을 잊지마세요.

I expressed my apology by allowing her to go to the concert.
시점 비교는 allow와 합니다.
We were so disappointed because of realizing to have canceled their investment.
시점 비교는 realizing과 합니다.

물론 좀 더 세밀한 표현을 쓴다면 진행까지 표현하는데 위의 네가지 모양에 진행을 더하면 to be ~ing, to be being p.p, to have been ~ing, to have been being p.p가 표기 모양이 되고 전체적으로 to 부정사 모양이 8가지가 되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독해에서 아주 드문 경우로 보여지는 형태인데 전달자의 세밀한 시점표기는 될 수 있으나, 동사에 너무 많은 단어를 나열하는것은 개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실제 전달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진행을 표현한 문장이라 하더라도 굳이 이에  따른 민감하고 디테일한 독해는 불필요합니다.  

기타로 서수를 수식하는 동격의 의미로 to부정사를 사용할 때는 단순부정사 표기임을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He remembers the first time to travel S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