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6

26. 동격접속사 that vs 관계대명사 that 구분

앞장에서 관계사와 접속사 구분을 설명드렸습니다. 전장의 내용만으로도 접속사와 관계사의 구분은 충분합니다. 하지만 기본적 개념을 알고 있는것이 글을 쓸수 있는 자양분이니 여기서는 동격접속사that을 정확히 설명하겠습니다. 모든 것이 그렇듯이 이름에 이미 소속이 나와있습니다. 동격접속사도 접속사이므로 연결어 문장안이 완전함을 기본전제로 하고 이 완전함도 구조상으로 다시 한번 설명드리면 1. 명사 that 주어동사(완전자동사)~ 2. 명사 that 주어동사(불완전자동사 형용사)~ 3. 명사that 주어동사(완자) to 부정사(완자 또는 불자)~ 4. 명사that 주어동사(완자) to 부정사(완자 또는 불자) 전치사 명사(동명사)~ 5. 위 1~4 동사가 가능 타동사(~을를을 붙일수 있는 동사)인 경우 : 다음..

카테고리 없음 2023.03.28

25. what(복합관계대명사) vs that(관겨대명사,접속사) 구분

세 연결어의 쓰임은 이미 설명드렸기 때문에 이 장에서는 세단어를 비교하여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실 관계대명사 what과 관계대명사 that만의 비교는 연결어절의 불완전 부분이 공통적이어서 선행사의 표기 여부만을 파악하면 되기 때문에 쉬운 문제이나 관계사와 접속사인 세단어를 한꺼번에 비교하는 것은 웬지 어려워 보이죠. 시험에서 이와 관련한 선택문제가 자주 출제되는 것은 선택시 뚜렷하게 차이점만 있는것이 아니라 공통점이 있어 어렵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거꾸로 차이점을 먼저 구분해나가면 간단하게 숙달이 가능한 부분이며 거꾸로 공통점을 생각하거나 접근 순서가 일관성이 없으면 해를 넘겨 이해하는 부분이기도 하구요. 선택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전에 각각 두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면..

카테고리 없음 2023.03.27

24. 복합관계사

복합이라는 말은 합쳐져 있다라는 의미로 선행사와 관계사를 합쳐서 한단어로 약속하여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흔히 선행사를 포함한다라고 말하는 설명입니다. 왜냐구요?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특정사물을 가르키는데 줄여쓰면 전달이 불분명해지므로 선행사중 불특정이면서 자주 쓰는 선행사(한단어만 지정)를 관계사에 포함시켜 줄여쓰는 것입니다. 논리적 설명이 완벽한 복합관계대명사 what을 먼저 설명한 후 복합관계 대명사(whatever, whoever, whomever, whosever)와 복합관계부사(whenever, wherever) 그리고 수식하는 복합관계형용사(whatever)/복합관계부사(however)를 설명하겠습니다. what ~ = the thing(s) which~ 보통 불특정이면서 일..

카테고리 없음 2023.03.26

23.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고르기

이전의 모든 내용이 기본적 개념 원리를 표현하여 글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다루었다면 이장은 시험 문제 풀기같이 이미 만들어진 문장의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에 관한 실전적 내용입니다. 관계사는 뒷문장에 속하므로 뒷문장의 구성부분을 살펴봐야 하는데 쉽게 설명드리면 관계대명사인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으면 관계부사를 선택하는 겁니다. 말장난이냐구요? 아니요. 동시에 둘다 확인하지 않음을 강조하는것 입니다. 쓰여진 관계사 문장안의 명사가 중복된 명사로 생략되는 위치를 본다면 1. ~~~~관계사 동사~~~~ 주어가 없으므로 백퍼센트 관계대명사 2. ~~~~관계샤 주어동사(완전자동사 불완전자동사) 부사(순수부사나 전치사 명사 형태) 자동사(자타동사편 참조)는 목적어를 쓸수 없으므로 원래 목적어가 없는 문장으로 관계부사 ..

카테고리 없음 2023.03.24

22. 관계부사 2 : 생략

관계부사중 시간과 장소를 나타내는 선행사의 경우 시간은 정확한 시간만이 아닌 전편의 예문처럼 season과 같은 단어도 사용하며 장소도 정확한 위치뿐 아니라 공간적 명사도 사용할수 있음을 기억해두세요. 그렇다면 관계부사 선행사가 이렇게 다양한데 어떠한 경우에 생략이 가능할 수 있을까요? 항상 그렇듯이 생략했을때 누구나 알수 있어야 규칙이 만들어질수 있습니다. - the place(선행사) where - the time(선생사) when - the way(선행사) how - the reason(선행사) why 방법이나 이유의 선행사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처럼 장소나 시간도 특정 장소나 시간을 말하지 않을 때는 일반적으로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place나 time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톡정장소나 시간이 아니..

카테고리 없음 2023.03.22

21. 관계부사(전치사+관계대명사) 1

중복된 명사와 등위접속의 의미 모두를 갖는 한단어 관계대명사를 기억하실겁니다. 그런데 여러번 설명드렸듯이 언어는 효율적 표현을 지향합니다. 관계대명사를 사용하다보니 관계대명사가 전치사의 목적격인 경우가 많고, 예 I remember the place which I met him in. >>> I remenber the place in which I met him. (in which는 관계대명사편에서 설명드렸듯이 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하지만 딋문장에 속해있는 부사구입니다.) 이중에 자주 사용되며 움직이지 않는 전치사 in at on(장소와 시간), for (때문에), by(~에 의해서)가 관계대명사 목적격으로 쓰이는 경우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in at on(장소 시간) I rember ..

카테고리 없음 2023.03.22

20. 전치사(2) : 역할, 목적격 접속사 that 생략

1. 전치사 역할 전명구는 문장에서 부사구나 형용사구로 쓰임을 전명구편에서 설명하였고, 딴몸으로 쓰일땐 순수 이음 역할을 하는 전치사 기능을 살펴보았습니다. 예 - I put a vase on the table. - I saw a vase on the table. - I am sure of his leaving Korea. 여기서는 위의 예중 전치사가 전명구가 아닌 동사구에 소속되어 목적어를 연결해주는 문장을 살펴보겠습니다. 전치사가 순수 이음 역할을 할때는 a. 자동사를 목적어와 연결할 때 It depends on you. b. 타동사를 목적어와 연결할 때(예외동사) I look after my dog. c. be + 형용사를 목적어와 연결할 때 I am sure of his leaving Korea...

카테고리 없음 2023.03.05

19. 전명구 : 문장안에서 품사

전치사는 관계대명사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바로 앞으로 위치를 옮기는 설명에서 품사관련 약간의 설명을 한바 있습니다. 이제 전치사와 전치사의 목적어가 한 묶음 그리고 다른 묶음시 문장에서 어떤 품사(해석)로 사용할 수 있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전치사와 전치사의 목적어가 한몸일때 문장에서 품사(우리말 해석시 끝모양이 다름)는 부사구나 형용사구 역할을 합니다. (구는 단어가 두개 이상이 한묶음을 이루어 품사 역할을 할 때 한묶음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다음편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부사의 예 1. I put a vase on the table. 나는 테이블 위에 꽃병을 놓았다. 2. I sat on rhe chair. 나는 의자위에 앉았다. 1번의 해석의 경우 전치사 앞에 명사가 있지만 우리말 ~ㄴ ..

카테고리 없음 2023.03.03

18. 전치사

전치사는 흔히 영단어 구성중 8품사에 들어 있는 부류이며 단어가 위치( 장소 방향 시간 ), 이유, 방법, 조건, 양보, 도구, 동반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위치를 표시할 때는 대략적이지 않고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는 단어들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렇다고 전치사로 쓰이는 단어들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것은 아니고 100개 미만입니다. 우선 해당하는 전치사를 최대한 적어보면 1. over, above, on, below, beneath, under, down, into, onto, to, from, through, throughout, toward, in, at, along, until till, before, after, during, since, upon, as, with, without, with..

카테고리 없음 2023.03.02

17. 연결사(관계대명사 4 : which와 that)

관계대명사 which, that은 기능적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이전에 각자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which는 의문대명사, 의문형용사로 that는 접속사, 지시대명사, 지시형용사, 부사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품사 역할외로 두 단어를 기능적인 관계대명사로 사용하다보니 두단어중 역할이 적은 한 단어의 쓰임이 더 쓰일수 있는거라고 봐야할껍니다. 물론 일부는 앞에서 설명드린 부분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모든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관계대명사 which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 1. 관계대영사 소유격에는 whose, of which로만 정해져 있으며 that로는 사용불가 (앞에서 왜 그럴까에 대한 추정은 언급한 바 있습니다.) 2. 관계대명사 that앞에는 ..

카테고리 없음 2023.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