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6

36. To부정사 일어난 시점 표현 & 능동/수동

전편에 설명드린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글을 쓸 때나 쓰여진 글을 볼 때도 시작점이 되는 중심이므로 항상 먼저 살펴야하는 부분이고, 이후 순서로 여기에 맞추어 일어난 시점을 표현하는데, 이 때도 동시에 능동/수동도 알수 있는 표기어어야 합니다. To 부정사 일어난 시점 표현 1. 단순부정사(지칭하는 표현) 모양 - to 동사원형(능동) / to be p.p(수동) 시점 - 기준이 되는 동작(불완전 자동사 포함)과 비교하여 시점이 같거나 미래일 때 표기. 예 I want him to join our team.( 능동 ) I want my used car to be repaired as soon as possible.( 수동) 2. 완료부정사(지칭하는 표현) 모양 - to have p.p(능동) / to h..

카테고리 없음 2023.05.27

35.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의미상 주어를 설명드리면 준동사라 부르는 To부정사, 분사, 동명사도 동사에서 만들어진 표기이므로 동작의 주체가 존재하는데 이를 의미상 주어라 말합니다. 예(to부정사 의미상 주어) - I expect him to apply for the company.(문장에 목적격으로 표기한 경우) him이 to apply for의 주체이므로 to부정사의 의미상주어는 him - I want to bike along the river. (문장에 주격으로 표기된 경우) I가 to bike의 주체이므로 to bike의 의미상 주어는 I로 want의 주어이기도 하면서 to bike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이제 우리가 말하거나 글로 표현할때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to부정사의 주..

카테고리 없음 2023.05.17

34. To 부정사 : 부사

To부정사는 전편에서 설명드린 명사, 형용사를 제외하면 부사의 쓰임이 전부입니다 그런데 명사, 형용사, 동사를 제외하면 부사가 품사중엔 제일 많은 단어를 이루고 있는데도 한편으론 부사의 정의를 설명해도 머리에 잘 다가오지 않는것도 사실입니다. 일반적으로 부사는 우리말에서는 대부분 형용사 어미를 변형하여 사용하고, 영어에서는 형용사에 ly를 붙여 만듭니다(very는 제외로 나중에 부사에서 따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만들어진 부사는 대다수 경우 형용사나 동사 의 범주를 보다 명확히 표현하는데 사용합니다. To 부정사 부사도 모양만 다르지 표현 기능은 같습니다. 다만 위치가 수식하는 단어 다음에 표기하는것이 일반 부사와는 다른 면입니다. 일반 부사는 수식하는 동사나 형용사의 앞뒤 둘다 표기가 가능하니까요. 이제..

카테고리 없음 2023.05.16

33. To부정사 : 명사, 형용사 쓰임(위치 및 해석)

To부정사 해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우선 알아야 할 사항이 To부정사는 어떤 품사로 쓰이던 모든 조동사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동사의 의미에 will, should, must, may, can, doom, dare의 의미를 동사원형의 해석에 붙일 수 있습니다. 명사 주어, 목적어, 보어자리에 표기하면 명사로 쓰이며 우리말 해석으로 ~것으로 영어를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주어 To have a regular life is boring. 목적어 I want to have a golf lesson. 보어 My duty is to detect the illegal fishing. 물론 to부정사에서 어떤 품사로 사용하던 동사원형은 하고자하는 말을 문형에 맞추어 계속 이어 표현할수 있습니다. 그..

카테고리 없음 2023.05.16

32. 부정사 : 1. 형태에 따른 분류

우리는 흔히 가장 많이 사용하는 To부정사를 부정사의 전부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적게 쓰이더라도 부정사 역할을 하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가 있어 정리해 보겠습니다. To부정사가 가장 많이 쓰이지만 이 중에 하나일 뿐이니 다른 것도 알아는 두어야 독해뿐 아니라 세련된 글도 작성이 가능합니다. 1. To부정사 : To 동사원형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로 사용 가능 예 I want to get a ticket for BTS concert. 2. 원형부정사 : 동사원형 - 5형식 문장에서 목적보어자리에 동사를 표기할때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가 사역동사나 지각동사이면서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가 능동인 경우 예 I saw him run to the achool. I made him send t..

카테고리 없음 2023.04.17

31. 분사구문(3) : 1. with 목적어 분사~ 2. 분사와 분사구문의 구별

1. 분사구 : with 목적격 분사~ 해석 : 핵심은 목적격의 명사를 분사의 주어로 해석(은는이가)하며 머리속에 with가 없다고 생긱하고 주어 동사 ~~(문장)로 해석합니다. 형태 - with 목적격 ~ing 목적어가 ~하면서(하고서) I was watching TV with myself drinking water. - with 목적격 p.p 목적어가 동사원형되면서(되고서) A bird came into the room with the window broken. - with 목적격 순수형용사 목적어가 ~하면서(하고서) A bird came into the room with the window open. 여기서 open은 형용사로 열린이란 뜻이며 이처럼 순수형용사가 가능하면 굳이 동사를 끌어와야 할 이..

카테고리 없음 2023.04.13

30. 분사구문의 표기(2) : 1. 두절의 시제가 다른 경우, 2. 두절의 인칭이 다른 경우, 3. 분사구문 모양

1. 접속사절과 주절의 시제가 다를때 분사구문 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a. 단순분사구문 일반적으로 두절의 시제가 같거나 When he heard the news, he couldn't help crying. >> Hearing the news, he couldn't help crying. 접속사절의 시제가 나중인 경우 Before he realized the circumstance, he had been appointed as a trouble maker. >> Realizing the circumstance, he had been appointed as a trouble maker. b. 완료분사구문 시간적이 흐름이 접속사절이 전이라는 의미로 완료라는 이름을 사용 After he had realized..

카테고리 없음 2023.04.12

29. 분사구문(1)

연결어로 문장을 이어 사용하는 문장중 접속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절의 개념에서 설명드렸듯이 접속사절은 문장에서 명사와 부사의 역할을 하는데 부사절은 전체문장에서 부사이므로 주어와 목적어 보어와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그래서 언어는 효율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본체와 상관없으며 본체를 보면 굳이 표기하지 않아도 되는 부사절안의 생략을 약속하게 됩니다. 여기서 만들어진 결과물이 분사구문이며 위의 설명처럼 부사절은 분사구문에서도 절대적으로 이해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시작하기전 반드시 앞에서 설명드린 절의 설명(12. 절의 개념 : 주절과 종속절)을 숙지하시면 반은 이루었다고 생각합니다. 접속사편(13. 연결사 : 접속사)에서 설명드린 부사절 접속사는 before, after, till, until, s..

카테고리 없음 2023.04.04

28. 1. 감정동사로 만든 분사, 2. 유사(의사)분사, 3.분사 표기 구분

1. 감정동사로 만든 분사 감정동사는 delight, please, bore, disappoint, surprise, interest, frustrate등이 있는데 글자 그대로 감정과 관련된 표현의 동사입니다. 그런데 이 동사의 주체를 기준으로 주체가 상대의 감정을 일으키는지 받는지를 기준으로 능동의 ~ing 수동의 p.p를 사용하는데 언어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쉽게 기억하여 사용하도록 알려준 법칙아닌 법칙이 있습니다. 동사를 이용해 형용사로 사용하는 분사중 감정과 관련된 동사는 주체가 사물이면 무조건 현재분사이고 주체가 사람(생물)이면 상대에게 감정을 일으킬 때는 현재분사로 감정을 받게될 때는 과거분사로 표현합니다. 주체가 사물인 경우엔 인간이나 동물이 아니고선 감정을 받을수가 없는겁니다. 예 The..

카테고리 없음 2023.04.03

27. 현재분사 & 과거분사

우리가 언어 표현을 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품사중의 하나가 형용사입니다. 형용사는 사물의 성질 상태를 나타내고 명사를 수식(범위를 한정해주는)할 때 끝자음이 ~ㄴ ~ㄹ 또는 ~의로 끝나는 단어입니다. 영어에서 형용사는 어미가 ~ous, ~tive, ~ful, ~able로 끝나는 단어들이 많지만 모두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왜 갑자기 형용사를 얘기하냐구요? 왜나면 현재분사나 과거분사는 형용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해 놓은 모양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말과 영어는 글자 모양과 문장의 표기 순서는 다르나 품사는 같은 개념을 가지고 있고 순수 형용사만으로는 명사를 수식할 때 동작이 있는 상태나 어느시점의 상황인지를 표현할 수가 없어 분사로 채워준겁니다. 예 춤추는 아이들 먹을 음식 그래서 우리말은 동사의 어..

카테고리 없음 2023.04.01